BLOG ARTICLE 리뷰/영화 | 2 ARTICLE FOUND

  1. 2009.09.15 로마의 비밀
  2. 2009.09.15 이런걸 시리즈로 안내면 한국 영화계는 잘못하는 겁니다.

로마의 비밀

리뷰/영화 2009. 9. 15. 19:42
천사와 악마천사와 악마 - 10점
론 하워드
다빈치 코드를 역사추리로 선전하는 출판사에 기함을 토했던게 얼마전 같은데 이번 영화 개봉일에 가까워오면서는 스릴러물로 선전을 전환하더라. 다행이다. 랭던 교수 시리즈는 어딜봐도 스릴러다. 너무나도 이성적으로 현대 지식인을 대표하고 있는 랭던 교수는 미워할래야 미워할 수 없는 독자의 분신같은 존재다. 다소 위험한 수위로 가톨릭을 파헤치고 있지만, 불쾌하더라도 이해할 수 밖에 없다. 단 어디까지나 그가 이상적인 가상의 인물이라는 사실을 우린 잊지 말아야 한다.

 댄 브라운이 종종 자신의 소재로 사용하는 기호와 상징, 종교와 종교사는 나도 매우 좋아하는 분야라, 다소 어설픈(...죄송하다 팬이 계시다면) 스릴러에도 반정도는 커버하고 그의 작품을 보게 만든다. 솔직히 말하자면, '천사와 악마' 원작을 보지 않고 영화를 봐서 이번엔 원작에 대해 이러쿵 저러쿵 말할수는 없다. 시간만 닿으면 최대한 빨리 읽어보려고 마음먹고 있다.

 영화만 한정해서 얘기하면, 확실히- 전작인(그러나 시기상으로는 천사와악마가 먼저다) 다빈치 코드보다는 덜 신성모독적이고, 감독의 탓인지는 모르겠는데 심지어 기독교적인 메세지도 담겨져있다. 킹덤오브헤븐이 생각나게 하는 작품이었다.(죄송해요 킹덤오브헤븐이랑 비교해서. 그냥 보면서 그게 생각났어요 개인적으로) 장소도 로마-바티칸에 한정되어있어 이나라 저나라를 왔다갔다 하던 다빈치코드에 비하면 스케일도 작다. '성배'에 대한 역사와 검증에 많은 부분을 할애했던 다빈치 코드에 비하면 학술적인 내용보다는 좀더 스릴러에 치중했다. 한마디로 단순하다. 복잡하지도 않고. 적당히 재밌다. 어디까지가 로케고 어디까지가 CG인지 구분할 수 있는 눈은 없지만, 성 베드로 성당을 비롯해서 광장, 시스티나, 로마 시내 곳곳의 교회관련 명물(...명물이란 표현이 다소 조야하지만)들을 꼼꼼히 비춰주고 있어서 보는 즐거움도 있다. 솔직히 말하면 한낱 기호학자(기호학자 여러분 죄송합니다. 에코님 사죄할께요)의 추리대로 범인이 움직이는 것도 그렇지만, 우연으로밖에 설명할 수 없는 사건의 흐름들은 둘째치고, 그냥 다시한번 로마-바티칸 투어를 한다는 느낌으로 영화를 봤다. 눈이 매우 즐겁더라. 바티칸 도서실이랑 콘클라베 하는것도 보고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교회관련 상징이나 고대-중세 원소사상등에 관심이 있으신분들은 재밌게 볼 수 있을거다. 아니면 로마 여행경험이 있거나. 다소 어설픈 트릭들은 살짝 눈감아 주기로 하자.
http://senillia.tistory.com2009-09-15T10:42:020.31010
AND

그림자살인그림자살인 - 10점
박대민


1. 깜짝놀랐다. 이사람 로망이 뭔지 알고있어! 감독 자신이 생각하는 로망을 그대로 영화로 실현시킨 무서운 사람 같으니라고! 게다가 그 로망이 뭔지 알아채는 나 또한 무서워!

2. 내가 추리물중에 가장 선호하는 '스토리형' 이라 보고나서 기분이 좋아졌다. 단순히 추리해서 범인을 잡는거에 그치는게 아니라, 제대로 서사가 있는. 추리를 위해 서사가 있는게 아니라 서사 안의 일부로 추리가 들어있는거 말야. 난 정통 트릭형은 별로라..... 무엇보다 역사추리! 오오 찬양하라 역사추리물이여 최근에 경성탐정록 같이, 일제시대를 바탕으로 한 역사추리가 은근 뜨고 있는 듯 한데 역시 매력적이다 이시대. 어떻게보면 구한말/일제치하라는게 꽤나 제약으로 다가올 수 있는데(왜냐하면 그냥 범인잡고 땡치고 싶어도 한국인으로서 어쩔수없이 어떻게든 역사문제를 다루게 되므로;) 그럼에도 불구하고 매력적인것은 사실.
 
3. OST가 엄청 전형적인듯하면서 작품에 잘 어울린다. 영화보고 롯데시네마에서 만든, 얇은 영화 잡지를 읽었는데, 거기서보니 감독이 특별히 어느 시대를 상정한게 아니며 반 농담으로 고증을 무시했다고 하더라. 근데 세트도 좋았다. (단 황정민이 만지니까 흔들리는 나무 난간은 좀....;; 너무 세트같았다) 영상은 내가 잘 몰라서 막말은 못하겠고, 전체적으로 예뻤다. 20c초 조선거리치고는 좀 너무 활기차보이는게 마음에 걸릴정도로;

4. 내가 생각하는 감독의 로망 (스포있음) 일단 이분 홈즈를 너무 좋아해ㄲㄲㄲ 그야말로 덕후의 냄새가 솔솔 (소품이며 케릭터며 그리고 찾아온 손님의 정체맞추기는 빠질수없는가) 주인공 탐정은 평소에는 껄렁하지만 실은 남에게 말못할 아픔이 있는 캐릭터로 결정적인 순간에 카리스마를 발휘함. 특히 전 경찰/군인 신분 일것. 조수는 의사 등 전문직, 혹은 고위관료 주인공 상대역 여인으로서는 지혜롭고 심지가 굳을것. 거기에 영화에선 특별히 발명가라는 옵션까지. 게다가 이루어지지 못한 비운의 사람이라니 이럴수가! 차례로 증거를 모아 사건에 대한 실마리를 찾을것. 범인과 벌이는 두뇌싸움 및 추격씬은 반드시 집어넣을것. (영화에선 무려 탐정님께서 몸소 격투를 하신다, 머리도되고 몸도되다니 이런 사기케릭터) 최후의 반전 어리버리한 경찰과 아는사이. 대개 사이 안좋음. 하류층에겐 자비로울것. 대단한 사람에게 의뢰를 받는게 한번은 나와야 함 (그런의미에서 2부 가는거임?) 역사추리일 경우 실존인물이 한둘은 반드시 등장해야함(게다가 반드시 주인공과 만나서 보는사람의 카타르시스를 증가시켜야 함) 이건 직접 감독이 말한건데 '닥더Q의 연구실'
 

5. 전문가평은 그리 좋지않던데, 난 개인적인 취향과 매우 맞아서 별 네개반을 주겠다. 별반개가 아쉬운건 연기때문. 난 류덕환을 매우 아끼는데 내가보기에 초반에 연기가 조금 미흡해보이는 부분이 있었다. 황정민도 약~~간 대본읽는 느낌이 난게 초반에 조금; 한국 영화계나- 한국 추리계를 위해서라도 이런건 시리즈도 내야한다. 특히 이렇게 '서사'가 강조된 추리물(역사추리)일 경우에는 시리즈가 아닌 단편이면 그 매력이 잘 드러나지 않는다. 캐드펠이, 팔코가 단편의 주인공이었다면 과연 지금까지 사랑을 받았을까? (근데 2부내면 무대가 xxx가 되야하므로 안낼것같다 아쉽다-_-)
http://senillia.tistory.com2009-09-15T10:39:400.31010
AND